figure1. 2009.07.01. the rest on Seoul Plaza (City Hall) figure2. police buses are next to Seoul Plaza
We started our schedule with our group meeting.
First, our group members took roles to do our work easily. We talked about the things and symbols of Seoul like public
transportation, the bridge of Han River, university campus, famous street in Seoul, etc. We had to use "Seoul" as a subject of our work so we just decided to go to City Hall to get inspiration. Over 2:30pm, we arrived at Seoul Plaza in front of City Hall. At first, our members felt little hard to understand "Design" because we thought it was the field the only specially educated people could do. But soon, we agreed to that "Design" meant visualizing our ideas and thoughts. And we really expected to experience "Design" through this
SogangInternational Summer College.
These are our ideas about Seoul :)
Seoul Plaza is very peaceful place where people can enjoy nice cultural events. Paradoxically, Seoul Plaza and near City Hall change very fast and also accept the change without difficulties. From that point of view, we can focus dual side of Seoul. It is a kind of dual sides of Seoul that Seoul Plaza the place for everyone become a restricted area because of political issues. Also very modern, luxurious places in Gangnam and demolition area in Yong San can be another example. Some people feel relaxed and comfortable from Han River, but others imagine bad news like suicide for the river. Even, Seoul citizens have two sides. They are very kind and nice but at the same time they have egoism. Therefore, the image of Seoul in 2020 will be various with the way this situation proceeds.
------------------Korean
두 번째 그룹미팅을 시작으로 오늘의 일정을 시작했다. 먼저 앞으로의 과제수행을 원활하게 하기위해서 각자 역할(사진촬영, 기록, 웹사이트 관리, 영상 …)을 맡았다. 그리고 주제에 대해서 명확하게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우선 자신의 관심사 혹은 서울하면 떠오르는 것들을 위주로 아이템을 제시해보았다.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거리음식들, 서울의 대중교통, 한강의 다리, 대학캠퍼스, 지하상가, 간판, 도심재개발, 서울의 특색 있는 골목들, 벤치 등 다양한 아이템이 나왔지만 주제와는 직접적으로 연결시킬 수 없었다.
앉아서 이야기해보는 것으로는 진척이 없을 것 같아 밖으로 나갔다. 2시 반이 조금 넘어서 서울시청 앞 광장에 도착했다. 시청 앞 광장 잔디밭에 앉아서 ‘2020년의 서울의 모습을 디자인하라!’는 물음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미래의 서울을 위한 디자인. 질문에서의 ‘디자인’은 단순히 미술교육을 받은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전문 분야가 아닌, 미래의 서울을 좀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시키기 위해 주위에서 관찰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차용하는 것, 즉 아이디어를 형태나 형상을 통해 가시화하는 것이며, 다들 이번 하계대학을 통해 몸소 체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서울광장은 드넓은 잔디밭에서 주기적으로 열리는 문화행사를 즐길 수 있는 한가로운 곳이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서울광장(서울시청 주변)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변화를 받아들이는 곳이다. 느림과 빠름이 공존하는 시청 앞 광장을 보면서 서울은 곳곳에 양면성이라는 공식이 적용되고 있다고 느꼈다. 느림과 빠름이라는 단순한 속도의 문제를 떠나서 모두를 위한 광장이 정치적 목적 때문에 경찰버스로 폐쇄되어 국민의 목소리는 들을 수 없는 공간으로 전락하는 것도 양면성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양면성은 서울의 구석구석에서 관찰 할 수 있다. 강남 테헤란로의 번지르르한 마천루와 용산의 철거촌은 개발과 보존이라는 두 갈래의 길에 서있는 서울의 현주소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심지어 서울을 가로지르는 한강은 우리에게 여유와 푸근함을 느끼게 해주기도 하지만, 누군가는 그곳에서 삶을 끝자락을 놓아버리기도 하는 차가운 철의 느낌을 지닌 곳이다. 혹은 유유히 흐르는 강물은 정적인 이미지를 대변하지만, 봉준호 감독의 영화「괴물」속의 한강의 이미지는 상당히 동적이다. 서울시민은 어떤가. 그들의 인성과 품성에는 따뜻한 정과 차가운 이기주의라는 양극단이 공존한다. 결국 2020년의 서울은 양면성을 지닌 현 상황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는가에 따라 그 모습이 결정될 것이다.